
‘엘레지의 여왕’ 이미자가 66년간 이어온 찬란한 음악 여정에 마침표를 찍었다.
‘전통가요의 뿌리’ 이미자는 후배 가수 주현미, 조항조, ‘미스트롯3’ 진 정서주, ‘미스터트롯3’ 진 김용빈과 함께 120분 동안 무대를 가득 채우며 전통가요의 맥을 이어갔다.
66년 가수 인생의 마지막 무대에 오른 이미자는 안기승 악단의 아코디언 솔로와 함께 무대에 올라 30주년 기념곡 ‘노래는 나의 인생’으로 화려한 포문을 열었다. 후배 가수들과 함께한 오프닝 무대가 끝나자 객석에서는 우레 같은 박수와 함성이 터져 나왔다.
이어 주현미, 조항조, 정서주, 김용빈은 대선배 이미자를 위한 헌정무대를 선보였다. 이들은 ‘아씨’, ‘여자의 일생’, ‘흑산도 아가씨’, ‘여로’, ‘눈물이 진주라면’, ‘황포돛대’, ‘아네모네’, ‘빙점’ 등 한국 가요사 그 자체인 이미자의 히트곡을 재해석해 특별한 감성을 더했다.
공연 중반에는 일제강점기부터 6.25 전쟁 까지 시대의 아픔을 담아낸 전통가요를 조명하는 무대가 이어졌다. 출연진은 ‘황성옛터’, ‘귀국선’, ‘해방된 역마차’, ‘전선야곡’, ‘가거라 삼팔선’ 등 시대를 대변한 명곡들을 통해 한국 전통가요의 가치를 되새겼다.
이미자는 데뷔곡 ‘열아홉 순정’을 시작으로 ‘황혼의 부루스’, ‘기러기 아빠’에 이어 최고의 히트곡 ‘동백 아가씨’를 특유의 애절한 목소리로 열창하며 깊은 울림을 안겼다. 한마디 한마디에 온 진심을 담은 무대는 ‘엘레지의 여왕’의 품격을 다시금 증명했다.
마지막 무대만을 앞둔 이미자는 “66년 동안 노래하면서 기쁜 일도 많았지만 가슴 아픈 순간도 많았다. 그동안 꾸준히 사랑해주신 여러분이 계셨기에 오늘 이 행복한 무대를 마련할 수 있었다.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팬들에게 뜨거운 인사를 전했다.
이미자는 후배 가수들과 함께 ‘섬마을 선생님’을 합창하며 공연의 대미를 장식했다. 무대 뒤 화면에는 “이렇게 소중한 시간을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을 오래오래 기억하겠습니다. 진심으로 감사하고 사랑합니다”라는 메시지가 흐르며 여운을 남겼다.
한편, 1959년 ‘열아홉 순정’으로 데뷔한 이미자는 ‘섬마을 선생님’, ‘여로’, ‘여자의 일생’, ‘흑산도 아가씨’ 등 수많은 히트곡을 남기며 66년 동안 한국 전통가요의 뿌리를 지켜왔다.
송미희 기자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